본문 바로가기

Git6

Git Bash 홈 디렉터리 설정 -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Git로 이동 - Git Bash 우클릭 → 속성 - 대상에서 --cd-to-home 삭제 - 시작 위치에서 %HOMEDRIVE%%HOMEPATH% 삭제 후 설정할 루트 디렉터리 경로 입력 후 적용 2024. 1. 11.
.classpath와 .project가 gitignore 적용이 안 될 경우 문제 다음과 같이 .gitignore에 .classpath와 .project에 대해 설정을 해주었는데도 Eclipse에서 Unstaged Changes에 그대로 추적이 되는 상황이 발생 원인 해당 파일들이 캐시로 인하여 tracking 되고 있음 해결 방법 gitbash에서 git 캐시 삭제 후 commit/push 진행 # git 캐시 목록 확인 git ls-files --cached # 특정 파일이 git 캐시 목록 확인 git ls-files --cached 파일경로 # git 캐시 삭제 git rm -r --cached . # 특정 파일의 git 캐시 삭제 git rm -r --cached 파일경로 2024. 1. 10.
Pull Request (PR) main에서 파생된 브랜치에서 발생한 변경사항을 main 브랜치에 반영하기 전에 코드를 공유하여 최종적으로 변경사항을 main에 반영할 지 고민할 시간을 주는 GitHub의 기능 (핵심에 변경 사항 반영전 중간 점검) ex) main에서 파생된 브랜치 A에서 변경사항이 생겨 A에 커밋&푸시 => 깃허브에서 Pull Requset 버튼이 나타남 => 버튼 클릭 => 메세지 입력 => 입력한 메세지와 함께 코드를 공유하여 최종적으로 A에서의 변경사항을 main에 merge 할지말지 결정할 시간 제공 및 토론을 할 수 있게 해줌 => 최종적으로 merge를 결정하면 merge pull request 버튼 클릭 => A에서 커밋&푸시된 내용이 main에서도 반영 2022. 11. 9.
Git Merge Conflict (VScode.ver) - 같은 파일을 서로 다른 브렌치에서 수정한 후 커밋한 경우 git merge conflict 문제가 발생 - 충돌 문제가 발생할 경우 충돌이 발생한 각각의 브렌치의 동일한 파일에 대한 코드를 보여주는데 HEAD와 ===== 사이 코드는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브렌치의 코드고 그 밑과 외부 브렌치명 사이 코드는 현재 브렌치와 충돌이 발생한 외부 브렌치의 코드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현재 브렌치의 코드와 현재 브렌치와 충돌이 일어나는 외부 브렌치의 코드 중에서 어떤 브렌치의 코드를 적용할지 결정한 후 최종적으로 add, commit, push를 해줘야 변경 사항이 반영 - VScode는 merge 충돌 에러 발생시 현재 브렌치의 코드와 외부 브렌치의 코드 중에서 어떤 브렌치의 코드를 적용할지 선택하는 .. 2022. 10. 17.
Git 기본 사용법 - pwd = 현재 위치 확인 - cd(change directory) = 폴더 변경 - ls = 현재 파일 리스트(.으로 숨긴파일은 출력 X) - ls -a = 숨김 파일까지 모두 리스트로 출력 - cd ~ = 처음 위치로 재이동 - cd / = 최상위 폴더로 이동 - cd 폴더명 = 현재 있는 폴더에서 해당 폴더로 이동 - ctrl + a = 커서 제일 앞으로 - ctrl + e = 커서 제일 뒤로 - ctrl + b = 커서 한 칸 뒤로 - ctrl + f = 커서 한 칸 앞으로 - alt + b = 커서 한 단어 뒤로 - alt + f = 커서 한 단어 앞으로 - vi 파일명 = vi 모드로 파일 수정 - code 파일명 = vscode로 파일 수정 - notepad 파일명 = 메모장으로 파일 수.. 2022. 9. 3.
Git 용어 간단 정리 - 작업 폴더(working directory) = 작업이 발생하는 폴더 - staging area = 작업 폴더에서 작업한 변경 내용을 git 저장소에 컴밋하기 전에 올려두는 공간 (중간 저장소) -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 내 PC에서 관리하는 git 저장소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 GitHub와 같이 로컬 저장소를 업로드 하는 저장소 로컬 -> 원격 - add = 작업폴더에서 수정한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1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 - commit = staging area에서 점검을 마친 파일들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 + 그 과정을 거쳐 원격 저장소에 전송되기 위해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 push = 로컬에서 작업.. 2022.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