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의 종류
1. 리스트 - []이용 (단순 나열 or 키-값)
2. 튜플 - () 이용
3. 세트 - {} 이용
append =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특정 단어 추가
insert = 특정 순서에 특정 단어 추가 (순서는 1이 아닌 0부터)
pop = 리스트의 맨 마지막 단어 지우기
index = 특정 단어의 위치 (순서는 1이 아닌 0부터)
sort = 문자 정렬, reverse = 순서 뒤집기, clear = 리스트 내용 모두 삭제, extend = 리스트 확장(합체)
in = 해당 키가 리스트에 있나 판정
지정한 키에 해당된 값 출력 방법
1. [] = 오류시 작동 멈춤 2. get() = 오류시 NONE 처리 후 다음 줄 코딩 작동 (index와 find 관계와 유사)
del = 지정한 키 삭제, keys = 키들만 출력, values = 값들만 출력, item = 키-값 모두 출력
튜플은 add와 remove를 이용한 원소 추가, 삭제가 X
세트 설정 방법
1. {} 2. set([])
교집합 설정 방법
1. & 2. intersection
합집합 설정 방법
1. |(\+shift) 2. union
차집합 설정 방법
1. - 2. difference
add = 집합에 원소 추가, remove = 집합에서 원소 삭제
list = 자료구조 리스트로 변환, tuple = 자료구조 튜플로 변환, set = 자료구조 세트로 변환
range(a,b) = a부터 b-1까지의 수 출력
range로 출력한 값은 type이 range라 list함수를 적용하려면 자료구조를 list로 변환해야함
sample = 지정한 리스트에서 지정한 수 만큼 랜덤으로 값들을 출력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6 (0) | 2022.05.19 |
---|---|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5 (0) | 2022.05.19 |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4 (0) | 2022.05.18 |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3 (0) | 2022.05.10 |
파이썬 독학 (나도코딩) 1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