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는 GUI가 아닌 환경에서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vi 종료 명령키
- :q = 작업한 것이 없을 때 종료
- :q! = 작업한 것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 :w = 저장
- :wq = 수정사항 저장 후 종료
- ZZ = 수정사항 저장 후 종료
vi 입력 모드 전환 명령키
- 명령키는 기본적으로 Esc를 누른 후 입력해야함
- i = 현재 커서 위치에 입력, a =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 입력
- o = 다음 행에 입력(Enter키와 유사), O = 이전 행에 입력(o의 정반대),
- I(대문자 i) = 해당 행의 첫번째 칸으로 이동, A = 해당 행의 마지막 칸으로 이동
vi 커서 이동 명령키
- j = 아랫행로 이동, k = 윗행로 이동, h = 왼쪽으로 이동, l(소문자 L) = 오른쪽으로 이동
vi 화면 이동 명령키
- 데이터의 양이 많아 화면을 넘겨야 하며 사용할 때 사용
- 기본적으로 ctrl과 함께 입력해야함 (ctrl+)
- u = 화면 1/2 위로, d = 화면 1/2 아래로, b = 화면 위로, f = 화면 아래로,
y = 화면 한 행만 위로, e = 화면 한 행만 아래로
- Shift+g = 맨마지막 행으로 이동 (앞에 원하는 행의 번호를 같이 입력하면 해당 행으로 이동)
vi 내용 수정 명령키
- r = 한 글자 수정, cw = 한 단어 수정, 숫자# = 지정한 숫자만큼 글자 수정
- C = 해당 행에서 해당 커서 위치부터 끝 내용 제거 후 입력 대기 (입력 후 Esc를 눌러야 적용)
- cc = 해당 행 내용 모두 제거 후 새로운 입력 대기
vi 내용 제거 명령키
- x = 커서 위치의 글자 삭제 (앞에 숫자 입력하면 그 숫자만큼 글자 삭제 가능)
- dw = 커서 위치의 단어 삭제 (앞에 숫자 입력하면 그 숫자만큼 단어 삭제 가능)
- D = 커서 위치부터 해당 행의 끝까지 삭제
- dd = 커서 위치의 행 내용 모두 삭제
vi 명령 취소 명령키
- u = 직전 명령 취소, U = 해당 행에서 실행한 명령 모두 취소, :e! = 마지막 저장한 이후의 모든 명령 취소
vi 복사&붙여넣기 명령키
- yy = 커서가 위치한 행 복사
- p = 해당 행 아래에 붙여넣기, P = 해당 행 위에 붙여넣기
- dd = 해당 행 잘라내기 (dd는 삭제 명령지만 입력 후 p나 P로 붙여넣기를 실행하면 잘라내기 기능)
vi 환경 설정 명령키
- 기본적으로 : 입력 후 입력해야 함
- set nu = 행 번호 표시, set list = 특수문자 표시, set showmode = 현재 모드 표시 (Insert 모드 유무만 나옴)
(set 뒤에 있는 텍스트에 no를 붙이면 반대 기능 실행)
- set = set으로 설정한 vi의 모든 설정값 출력
vi 파일 불러오기&읽어오기 명령키
- :r 파일명 = 해당 파일 읽어와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 :e 파일명 = 해당 파일로 전환
vi에 python 파일(.py) 만들기
- vi 파일명.py로 파이썬 파일 생성 가능
- 만든 파이썬 파일 python3 파일명.py 로 실행 가능
Window, Linux 공유폴더 생성
- 리눅스 창위에서 장치-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클릭 후 진행
- 오라클 머신 설정에서 공유폴더 설정에서
폴더 경로 = window 폴더 경로
마운트 지점 = Linux 폴더 경로 입력 후 공유 폴더 추가
- Linux terminal에 sudo mount -t vboxsf 윈도우폴더명 리눅스폴더명
'빅데이터 부트캠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부트캠프 31일차 (1) | 2022.08.17 |
---|---|
빅데이터 부트캠프 30일차 (0) | 2022.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