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론트엔드 독학

코딩 기본 용어 정리

by Mecodata 2022. 4. 30.

CPU - 계산
RAM - 기억
OS(운영체제) - 기반이 되는 프로그램

코딩 - OS에 명령을 내려 기계를 제어하는 것 = 프로그래밍(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프로그래밍 언어의 차이는 특성의 차이지 할 수 있는 기능의 차이가 아님(국어와 외국어의 차이 같은)

http = 웹 통신
https = http에서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한 것 
웹 서버를 만들었다 = 웹 통신 요청을 받아 그에 대한 반응을 했다

서버 = 인간으로 따지면 직업 - 요청자와 수행자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중간 공유기 역할(교환원)
브라우저 - 요청을 보내고 받아서 그대로 그려줌 (HTML-뼈대, CSS-꾸미기, Javascript-움직이기,기능)
JSON 방식 - 키 : value (뼈대는 그대로 두고 데이터만 바꿀때 사용)
웹은 다 받아오고, 앱은 데이터만 받음

API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약속(규칙), 은행 창구 같은 역할 
ex) 신분증을 가져와야 정보를 제공한다

구월은행의 입출금 창구로 가서 거래를 위해 신분증을 가져가야한다.
-> http://구월은행(서버 위치)/입출금 창구(API 주소)?신분증(가져가야할 데이터)

신규 API = 새로운 기능 창구
API 개발은 완료됐는데 클라이언트가 아직이다 = 창구는 만들어졌는데 요청하는 쪽이 미완성

프레임워크 - 서버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본 틀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종류가 다름)

인덱스 - 정렬된 순서 
ex) 책 찾을때 섹션 -> 출판사 -> 도서명 순으로 정리

협업 프로그램 git 
각자 git에 코드를 작업하다가 하나의 GitHub에 합쳐 정리  

git 용어
1. 컴밋(작업하다 저장하고 싶은 세이브 포인트) 2. 푸시(업로드) 3. 풀(남이 업로드 한것을 다운로드)
4. 브랜치를 따다 (작업 중 실험하고 싶은 부분이 있을 경우 따로 떼네어 작업) 5. 머지(따로 떼넨 브런치를 다시 합침)

'프론트엔드 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독학  (0) 2022.05.01
HTML 독학  (0) 2022.04.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