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네트워크

클러스터(Cluster)

by Mecodata 2023. 12. 13.

정의

- 여러 컴퓨터 또는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집합

- 노드(Node) =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컴퓨터 또는 서버

 

장점

  • 웹 기반의 중앙 집중 관리
  • 멀티 마스터 클러스터로 각 노드가 모든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 구성 파일을 데이터베이스 기반 파일 시스템으로 저장하고 Corosync로 모든 노드에 실시간 복제 가능
  • 물리적 호스트 간에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의 손쉬운 마이그레이션 가능
  • 빠른 배포 가능
  • 방화벽 및 HA와 같은 클러스터 전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음

 

단점

  1. 복잡성과 관리 어려움:
    • 클러스터를 설치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고급 기술 및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복잡한 환경에서 여러 노드를 관리하고 상호 작용하는 것은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2. 고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
    • 클러스터를 구축하려면 고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고가의 서버,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관리 소프트웨어 등을 도입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3. 성능 오버헤드:
    • 부하 분산이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추가적인 통신 및 처리 작업으로 인해 성능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기화 작업은 추가적인 리소스 소비와 지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자원 이중화:
    • 고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클러스터 내에서 자원을 이중화하는 경우, 시스템 자원 중 일부는 이중화 및 백업 용도로 사용되므로 전체적인 자원 활용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5. 확장성의 한계:
    • 특정 종류의 작업에 따라 클러스터의 확장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어떤 응용 프로그램은 분산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확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보안 고려사항:
    • 클러스터에서는 여러 노드 간에 데이터가 이동하므로 보안 문제에 대한 더 큰 주의가 필요합니다. 클러스터 환경에서는 데이터 전송 및 저장에 대한 보안 조치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7. 중앙화된 부분의 취약성:
    • 클러스터링은 중앙화된 관리자나 조정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는 중앙화된 부분이 클러스터 전체의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E, Polling, Socket  (0) 2024.04.26
KVM과 QEMU  (0) 2023.12.14
CLI vs REST 비교  (0) 2023.12.13
Ceph  (0) 2023.12.11
Message Broker  (0) 2023.09.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