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A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중 하나로 세계적인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표준
- RSA라는 명칭은 해당 알고리즘을 발명한 3인의 이름 앞글자를 딴 것에서 유래
- 암호화 뿐만 아니라 전자서명(인증)도 가능
-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로 구성 (비대칭키)
- 공개키 = 다수에게 공유, 개인키 = 개인만이 유일하게 소유
※ 대칭키/비대칭키 = 암호화하는 키와 복호화하는 키가 같은/다른 경우
암호화 방식
- 공개키로 암호화&개인키로 복호화하는 경우(데이터 암호화)와 개인키로 암호화&공개키로 복호화하는 경우(송신 주체 인증)가 존재
ex) A => B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경우
1. A와 B가 서로의 공개키 공유
2. A가 B에게 받은 공개키(B)로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암호화 + 자신의 개인키(A)로 이중으로 암호화하여 B에게 전송
3. B가 공개키(A)로 복호화하여 송신 주체가 A임을 확인 (전자서명) + 자신의 개인키(B)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A가 보낸 데이터 확인 (데이터 암호화)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 vs REST 비교 (0) | 2023.12.13 |
---|---|
Ceph (0) | 2023.12.11 |
Message Broker (0) | 2023.09.20 |
HTTP (0) | 2023.09.10 |
Client 인증 방식 (Cookie, Session, JWT)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