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익명함수인 lambda를 이용하면 [[0,1],[2,4]]와 같은 2차원의 리스트를 더욱 편리하게 정렬시킬 수 있음
★ sort()와 sorted()는 내림차순을 설정할 수 있는 reverse와 정렬의 기준을 설정하는 key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음!
ex) li = [[0,4], [1, -4], [1,3], [2,3], [3,4]]인 경우
1. li.sort(key=lambda x:x[1]) = 2차원 리스트의 두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오름차순(1순위), 두번째 원소가 같을 경우 첫번째 원소 기준으로 다시 오름차순(2순위) 정렬
=> [[1, -4], [1,3], [2,3], [0,4], [3,4]]
2. li.sort(key=lambda x:-x[1]) = 2차원 리스트의 두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내림차순(1순위), 두번째 원소가 같을 경우 첫번째 원소 기준으로 다시 오름차순(2순위) 정렬
=> [[0, 4], [3, 4], [1, 3], [2, 3], [1, -4]]
3. li.sort(key=lambda x:(x[1],-x[0])) = 2차원 리스트의 두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오름차순(1순위), 두번째 원소가 같을 경우 첫번째 원소 기준으로 다시 내림차순(2순위) 정렬
=> [[1, -4], [2, 3], [1, 3], [3, 4], [0, 4]]
활용문제
GitHub - anydevil0812/coding_test: 코딩 테스트
코딩 테스트. Contribute to anydevil0812/coding_tes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코딩테스트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코테에 자주 쓰이는 함수들 (0) | 2023.01.16 |
---|---|
BFS 유형에서 이차원 배열 주의사항 (0) | 2022.11.08 |
count()와 Counter() (0) | 2022.10.31 |
자주 쓰이는 math 모듈 메소드 (0) | 2022.10.29 |
문자열의 타입 판별 메소드 (0) | 2022.10.24 |
댓글